서비스 동작 원리

 

서비스란 단어는 물질적 재화 이외의 생산이나 소비에 관련한 모든 경제활동을 일컫는다. 당근이나 배달의 민족, 카카오톡 등을 서비스라고 말한다. 정확히는 공급자와 수요자의 상생 생태계란 단어가 있는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있고,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제공자가 있기 때문에 플랫폼 서비스라고 말한다.

 

개발할 때 개발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목적보다는 다른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개발하여 편의를 도와준다. 웹 서비스 일수도 있고 앱 서비스 일수도 있다. 개발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이 서비스의 동작 원리를 알려주려고 한다. 동작 원리를 알고 있어야 개발할 때 이해가 쉽다.

 

동작 원리

서비스 동작원리 그림1

 

사용자는 웹이나 앱을 이용하고 화면을 클릭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결과는 우리가 눈에 안보이는 웹/앱과 서버가 주거니 받거니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한 결과를 웹이나 앱으로 넘겨주기 때문이다.

 

웹/앱과 서버 사이에는 우리가 인터넷이라고 하는 걸 통해 주거니 받거니한다. 인터넷 또한 하나의 서비스이고, 인터넷과 관련한 모든 서비스를 통틀어 네트워크라고 말한다. 쉽게 말하면 웹/앱과 서버간의 통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동작 예시

 

  1. 네이버 사이트에 들어가서 검색창에 원하는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검색창의 오른쪽에 있는 [ 돋보기 ] 버튼을 클릭한다.

 

 

 

2. 그러면 이 화면으로 넘어가고, 김아무개라고 검색한 결과가 나온다. 이 검색 결과가 나오려면 << 서비스 동작원리 그림1 >> 에서 웹에서 서버로 주거니 받거니 해야한다.

3. 주고 받을 때 서버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 김아무개 >> 의 정보를 찾아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웹 페이지에 결과를 보여준다.

  • 서버는 자신이 알고 있지 않은 정보는 보여주지 않는다.

 

 

'Daily > Dev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자에게 CS(컴퓨터 지식)이 필요한 이유  (0) 2023.12.30